야간 도심 도로를 고속으로 주행 중인 은색 전기차의 전면 모습
|

전기차는 왜 이렇게 빠를까요? | M340i 오너가 직접 체감한 퍼포먼스의 비밀 [전기차 시리즈 2편]

BMW M340i(제로백 4.6초) 오너가 분석하는 전기차 압도적 퍼포먼스의 비밀입니다. 회전수 0에서 최대 토크를 발휘하는 즉발 토크, 변속기 없는 심리스 가속, 배터리 팩으로 인한 극저 무게중심이 테슬라 모델 3(3.1초), 아이오닉 5N(3.4초) 등의 슈퍼카급 가속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조향감, 엔진 사운드, 노면 피드백 등 운전의 감성적 재미는 여전히 내연기관의 영역임을 솔직하게 분석했습니다.

모터트렌드가 선정한 가장 빠른 BMW TOP 10을 소개하는 블로그 썸네일 이미지. 전면에 BMW M5 CS가 잠시 정차 중이며, 배경에는 런던 시내가 펼쳐져 있다.
| |

[BMW] 모터트렌드 선정, 역대 가장 빠른 BMW TOP 10 (과연 내 M340i는?)

모터트렌드가 300대 이상 테스트한 BMW 중 쿼터마일 기준 최고 성능 10대를 분석합니다. M5 CS(627마력, 10.7초)가 압도적 1위를 차지했고, M4 CSL(543마력, 11.1초)이 유일한 후륜구동으로 2위에 올랐습니다. 상위권은 4.4L V8 엔진이 장악했지만, 하위권(8-10위)은 모두 전기차가 차지하며 i5 M60, i7 M70, iX M60가 M 모델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성능을 보여준 BMW M340i 오너의 관점에서 본 퍼포먼스 분석을 담았습니다.

BMW M340i의 심장, B58 직렬 6기통 엔진룸 클로즈업 사진.
|

M340i의 심장, B58 엔진의 두 얼굴 (M340i 오너 일지 2편)

BMW M340i 3년 오너가 분석하는 B58 엔진의 완벽한 밸런스를 담았습니다. 컴포트 모드에서는 조용하고 부드러운 고급 세단으로, M 버튼과 M 퍼포먼스 배기 시스템으로 무장한 스포츠 플러스 모드에서는 포효하는 야수로 변신하는 이중성을 분석했습니다. 시내 주행 10-11km/L, 고속도로 12km/L 이상의 현실 연비 데이터와 함께 직렬 6기통 특유의 실키 식스 감성, 그리고 유일한 단점인 통풍시트 부재까지 솔직하게 담았습니다

전기차, 왜 지금이 진짜 ‘시작’일까요? [전기차 시리즈 1편]
|

전기차, 왜 지금이 진짜 ‘시작’일까요? [전기차 시리즈 1편]

BMW M340i(387마력 직렬 6기통) 오너가 내연기관 애정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전기차 시대 도래의 진짜 이유입니다. EU 2035년 내연기관 금지, 중국 NEV 정책, 미국 IRA 정책 등 글로벌 정책 드라이브, 500km 주행거리와 초급속 충전으로 ‘탈 만한 차’ 임계점 돌파, 포르쉐·벤츠·BMW 등 모든 프리미엄 브랜드의 전기차 올인 전략, 그리고 ‘왜 전기차를 타야 하지?’에서 ‘왜 아직도 안 타?’로 바뀐 질문의 변화까지 전기차 전환기의 핵심을 담았습니다.

M340i 독일에서 13km 주행 후 출고된 모습
|

모든 것의 시작: 내가 M3이 아닌 M340i를 선택한 진짜 이유 (M340i 오너 일지 1편)

9개월 대기 끝에 2022년 5월 출고한 BMW M340i와의 첫 만남부터 3년간의 소유 경험을 담았습니다. B58 엔진 387마력, 제로백 4.6초의 성능과 일상 주행의 편안함을 완벽하게 조화시킨 M340i의 매력, 세종 삼천리 모터스에서의 설레는 출고 과정, 그리고 M3 대신 M340i를 선택한 현실적이면서도 감성적인 이유까지 순수한 성능과 매일 함께할 수 있는 균형 사이에서 찾은 최상의 선택지에 대한 3년 오너의 솔직한 이야기를 담았습니다.

2024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

2024년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TOP 10 브랜드 순위 | 테슬라보다 더 팔린 브랜드는?

2024년 전 세계 전기차 총 판매량 1,730만 대(전년 대비 26.1% 증가) 중 BYD가 320만 대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습니다. 테슬라(180만 대), Geely Holdings(100만 대), 폭스바겐(80-90만 대), 현대·기아(70-80만 대), SAIC(60-70만 대), Stellantis(50-60만 대), BMW(50만 대), GM(45만 대), Ford(45만 대) 순으로 이어졌으며, 중국 브랜드가 전 세계 60% 이상 점유율을 기록하며 독주 체제를 구축한 반면 유럽은 정체, 한국은 북미에서 선전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