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이카 하이브리드 뷰파인더의 가능성 | 레인지파인더와 EVF, 공존의 기술
라이카 M EV1 이후, M 시리즈는 어디로 갈까요? 후지필름 X-Pro1의 하이브리드 뷰파인더에서 출발한 ‘레인지파인더와 EVF의 공존 가능성’을 기술·철학·시장 세 관점에서 짚었습니다. 하이브리드 M은 타협이 아니라, 라이카 철학의 확장일지도 모릅니다.
라이카 M EV1 이후, M 시리즈는 어디로 갈까요? 후지필름 X-Pro1의 하이브리드 뷰파인더에서 출발한 ‘레인지파인더와 EVF의 공존 가능성’을 기술·철학·시장 세 관점에서 짚었습니다. 하이브리드 M은 타협이 아니라, 라이카 철학의 확장일지도 모릅니다.
라이카가 드디어 금기를 깼습니다. 2025년 공개된 Leica M EV1은 70년 전통의 레인지파인더 방식을 버리고 EVF를 탑재한 첫 M 시리즈입니다.
M9-P와 M10-R을 사용해온 TACO의 시선으로, 이번 변화가 단순한 기술 혁신이 아닌 ‘보는 방식의 진화’임을 분석합니다. 불편함의 미학에서 효율의 미학으로 — 라이카가 선택한 새로운 철학의 전환점을 담았습니다.
라이카 M10-R 유저가 고민하는 M11-P 업그레이드 vs 핫셀블라드 X2D II 100C 입문. 녹티룩스, 주미룩스 렌즈 시스템 활용부터 중형 센서의 장단점, 가격 대비 성능, 렌즈 생태계 비교까지, 실사용자 관점에서 상세히 분석합니다. 업그레이드를 고민 중이라면 참고하세요.
5년간의 동행을 마친 TACO가 라이카 M9-P에 대한 최종 평가와 현실적인 중고 구매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CCD 센서의 독특한 색감부터 센서 부식이라는 치명적 결함, 적정 가격대와 구매 후 관리법까지, M9-P 구매를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모든 것을 담았습니다.
라이카 M9-P와 함께한 5년간의 여정을 통해, 현대 디지털 카메라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낯선 레인지파인더의 매력을 깊이 있게 탐구합니다. 이중상 합치와 존 포커싱이라는 아날로그적 방식을 통해 느린 사진의 미학을 깨닫고, 초점 실패와 같은 불완전함 속에서 오히려 진정한 감성을 발견하는 과정을 진솔하게 풀어냅니다.
라이카 M9-P를 전설로 만든 CCD 센서의 모든 것. 코닥 필름을 닮은 독보적인 색감의 비밀부터 사용자를 괴롭혔던 치명적인 센서 부식 문제의 원인과 중고 구매 가이드까지,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 분석합니다.
12편에 걸친 라이카 특별 시리즈의 마지막 여정. “나에게 라이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답합니다. M9-P와의 5년, M10-R과의 2년. 수동 조작의 즐거움부터 사진을 대하는 태도의 변화까지, 한 사진가의 모든 경험과 철학을 담아낸 진솔한 고백을 만나보세요.
라이카 M10-R 오너가 전하는 M 시스템의 진짜 매력. 레인지파인더 수동 조작부터 뷰파인더의 여백 미학까지, 불편함이 몰입으로 바뀌는 라이카만의 특별한 사용 경험을 솔직하게 기록합니다.
필름 시대의 황혼기, 라이카는 M의 순수성을 지키면서도 디지털화를 이뤄내야 하는 딜레마에 직면했습니다. 2006년 첫 디지털 M인 M8은 크롭 센서와 IR 필터 문제로 시련을 겪었지만, 2009년 M9는 세계 최초 풀프레임 디지털 레인지파인더로 ‘M9 매직’이라 불리는 독특한 CCD 색감을 선보이며 디지털 전환의 새 장을 열었습니다.
1954년 독일 포토키나에서 공개된 라이카 M3는 초점과 구도를 동시에 볼 수 있는 일체형 뷰파인더, 빠른 렌즈 교환을 위한 M 베이오넷 마운트, 촬영 리듬을 바꾼 필름 어드밴스 레버 등 혁신적 기능으로 레인지파인더 시스템의 결정판이 되었습니다. M3부터 현재 M11까지 이어지는 M 시리즈의 위대한 유산과 사진가 몰입 경험의 본질을 M10-R 사용자 관점에서 심도 있게 분석했습니다.